오민

2017.3.2.—4.6.

두산갤러리 뉴욕

제6회 두산연강예술상 수상자

전시 이미지 제6회 두산연강예술상 수상자 오민 개인전 《Notations》, 전시 전경, 두산갤러리 뉴욕, 뉴욕, 2017
전시 이미지 제6회 두산연강예술상 수상자 오민 개인전 《Notations》, 전시 전경, 두산갤러리 뉴욕, 뉴욕, 2017
전시 이미지 오민, 〈ABA Video〉, 2016, 단채널 HD (1080p) 영상, 12채널 오디오, 12분 50초 (아케미 나가오(안무), 홍초선(사운드 디자인)과의 협업
전시 이미지 오민, 〈ABA Video〉, 2016, 단채널 HD (1080p) 영상, 12채널 오디오, 12분 50초 (아케미 나가오(안무), 홍초선(사운드 디자인)과의 협업
전시 이미지 오민, 〈A Sit〉, 2015, 단채널 HD (1080p) 영상, 스테레오, 6분 권령은(안무), 홍초선(사운드 디자인)과의 협업
전시 이미지 오민, 〈A Sit〉, 2015, 단채널 HD (1080p) 영상, 스테레오, 6분 권령은(안무), 홍초선(사운드 디자인)과의 협업
전시 이미지 오민, 〈Plants〉, 2015, 단채널 HD (1080p) 영상, 스테레오, 1분 19초 홍초선(사운드 디자인)과의 협업
전시 이미지 제6회 두산연강예술상 수상자 오민 개인전 《Notations》, 전시 전경, 두산갤러리 뉴욕, 뉴욕, 2017
전시 이미지
전시 이미지
전시 이미지
전시 이미지
전시 이미지
전시 이미지
전시 이미지
전시 이미지

두산갤러리 뉴욕은 2017년 3월 2일 부터 4월 6일까지 제6회 두산연강예술상 수상작가 중의 한 명인 오민의 개인전 《Notations》를 개최한다.

오민은 자신이 전공한 피아노와 시각디자인 분야에서 찾은 일련의 규칙을 통해 음악과 예술에 내재된 이성의 통제와 규범을 주목하고 그 안에 불안의 감각을 관찰한다.

오민은 서양의 조성 음악이나 공연의 구조를 차용해 영상에 적용하는 실험은 지속하되 그 안에서 저자와 공연자 사이를 매개하는 스코어의 운동성에 주목해왔다. 사유의 결과물만을 상징하기보다 제작과정을 고스란히 담은 사유의 흔적으로서 기능한다. 스코어는 완성된 작품의 가이드 역할을 하기도 하고 저자와 공연자에게서 시간성을 부여받아 창작 과정을 역추적하고 결과와 과정이 뒤바뀌는 등 끊임없이 이동한다.

〈A Sit〉(2015)은 퍼포먼스 리허설 중 섬세한 동작을 생략해 연습하는 ʹ마킹(Marking)ʹ 과정을 공연의 완성물과 순서를 전환해 보여주는 영상이다. 공연자는 전체 공연 과정을 앉은 자리에서 스탭과 동작, 멈춤, 호흡 등을 실제와 같이 연습하지만 머릿속에서만 완벽한 모습으로 재현함으로써 이를 바라보는 관객은 오로지 정제된 공연자의 행위만 보고 공연의 발전 형태를 상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이와 함께 전시되는 〈ABA Video〉(2016)는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소나타 2번 1악장을 토대로 음악의 해석을 영상 작업에 적용해 보여주고 있다. ABA는 소나타의 형식, ʹ제시(A)-발전(B)-재현(Aʹ)ʹ에서 온 것으로 원조(original key)에서 시작해 다른 조로 갔다가 다시 원조로 돌아와 이를 반복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음악에서 반복은 처음으로 회귀함과 반복을 통해 돌아갈 곳을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안정감과 불안감 사이 긴밀한 연관성을 맺는다.

이번 전시를 통하여 작가는 불안과 안정, 움직임과 정체, 통제 등 전작부터 이어온 주제를 이어 나가고자 한다. 오민은 인간이라면 본능적으로 내재된 불안을 조절하기 위해 자신이 만들어 놓은 정교한 시스템 안에서의 구조를 관찰하고 ʹ통제의 도구ʹ를 만들어 불안감을 해소시키는 불가능해 보이는 노력을 함으로써 그 과정 안에 내재된 아름다움을 보여줄 예정이다.

오민(b. 1975)은 서울대학교에서 피아노와 산업디자인과를 졸업하고, 예일대학교 그래픽 디자인을 석사 졸업하였다. 두산아트센터 두산갤러리(2016, 서울), 대림미술관 프로젝트 스페이스 구슬모아 당구장(2015, 서울), 네덜란드 중앙은행 갤러리(2012, 암스테르담, 네덜란드) 등에서 개인전을 개최하였고,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2016, 수원), 국제갤러리(2016, 서울), 아르코미술관(2016, 서울),(2015, 서울), 백남준아트센터(2015, 용인),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2014, 과천) 외 다수의 그룹전에 참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