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김희천의 작업은 현실과 가상의 경계에서 끊임없이 해체되고 재조합 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현실에 대한 다양한 비판적 시선들을 던진다.
학력
2015
한국예술종합학교 건축과 졸업, 서울
개인전
2024
스터디, 아뜰리에 에르메스, 서울
2023
더블 포저, 헤이워드 갤러리, 런던, 영국
2019
바벨, 아시아미술관, 샌프란시스코, 미국
2018
김희천, 두산갤러리 뉴욕, 뉴욕, 미국
2017
홈, 두산갤러리, 서울
2015
랠리, 커먼센터, 서울
주요 단체전
2024
아트 스펙트럼 2024: 드림 스크린, 삼성 리움미술관, 서울
2023
WORLDBULIDING, 퐁피두 센터, 파리, 프랑스
게임사회,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2021
SF 2021: 판타지 오디세이,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서울
2020
아트 플랜트 아시아 2020: 토끼 방향 오브젝트, 덕수궁, 서울
2018
광주비엔날레 '상상된 경계들', 광주비엔날레 전시관 4관, 광주
현재의 가장자리, 백남준아트센터, 용인
Exhibition Of Exhibition Of Exhibition, 세실극장, 서울
소장품특별전: 동시적순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17
서울포커스 [25.7],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서울
제15회 이스탄불 비엔날레: a good neighbour, 이스탄불 현대미술관, 이스탄불, 터키
오 친구들이여, 친구는 없구나, 아뜰리에 에르메스, 서울
2016
IWILLMEDIEVALFUTUREYOU5, Kunsthal Aarhus, Aarhus, 덴마크
보이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SeMA 비엔날레 미디어시티 서울,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15
뉴스킨: 본뜨고 연결하기, 일민미술관, 서울
2013
미래작가상 수상 전, Canon Plex Gallery, 서울
수상
2023
제20회 에르메스 재단 미술상, 서울
2018
'세 개의 방' 프로젝트 선정, 백남준아트센터, ZKM, CAC
2016
제7회 두산연강예술상 시각 예술 부문, 두산연강재단, 서울
2013
미래작가상, 캐논코리아, 박건희문화재단, 서울
소장
국립현대미술관
심사평
그 동안 두산연강예술상은 매해 국내외에서 활동하고 있는 작가들의 전시와 작업세계에 주목하고 차세대 작가군 발굴에 보다 도전적 접근을 시도하며 창의적 도약을 위한 경쟁력 있는 후원가로서 자리매김했다. 두산연강예술상의 이러한 정신을 지속하며 2016년 미술부문 심사위원(김성원, 임근준, 조선령)은 9명의 후보 작가들에 대한 진지한 토론과정을 통해 제7회 미술상 작가로 김희천(1989), 박광수(1984), 이호인(1980)을 선정했다. 심사위원들이 제안한 9명의 후보작가들의 작업역량과 기대가치가 높아 선정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최종적으로 심사위원들은 작가의 성장 잠재력, 현재 활동상황, 확고한 작업세계 구축 가능성들을 기준으로 이 세 명의 작가로 의견을 모았다.
아직 20대 후반의 김희천이 지난 1년 동안 보여 준 밀도 있는 비디오 트릴로지 작업들은 다른 후보 작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전시경력에도 불구하고 심사위원들을 설득하는데 성공했다. 김희천은 자신이 속한 세대의 삶을 mp3와 같이 거세된 삶에 비유하며 이러한 삶으로부터 사라지고 싶을 때 사라지고자 현실세계를 스크린 속으로 백업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한다. 건축을 전공한 김희천은 실제 집과 도시를 만드는 것보다 스크린 속으로 백업된 자신을 포함한 서울 거주자들의 삶을 설계하고 그들을 위한 또 다른 도시를 구축하며 '병행하는 현실'을 제안하고 있다.
검은 색 마카 드로잉과 애니메이션으로 알려진 박광수 작업의 특징은 "표현방식의 오리지널리티와 그 변주의 다양성"에 있다. 작가는 드로잉을 근간으로 애니메이션, 벽화, 오브제를 만들며, "특정한 경향이나 유행의 틀과 별 관계없이, 또한 많이 소비되어 마모된 기호학적 프레임에 갇히지 않고 자유분방한 규율이 공존하는 스타일"을 구축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2006년에 미술계의 주목을 받으며 등단한 화가 이호인의 2015년 케이크갤러리 개인전 작업들에 대한 평가는 그 어떤 "변화를 약속하는 것이었으며, 잘 계획된 회화적 층위가 무척 매트한 붓질로 펼쳐진 모습은 일신을 기대케 했다" 그리고 2016년 아트스펙트럼 전시에서 "건조하고 매트한 물감의 층위를 얇게 중첩하는 작업의 특질상, 인체와 자연적 풍경 이상의 것을 그리기 어려운데, 놀랍게도 이호인 작가는 그러한 화법으로 구축적인 인공물을 설득력 있는 모습으로 그려내는 데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두산연강예술상 심사위원 일동은 김희천, 박광수, 이호인이 최근 보여 준 활약과 성취에 박수를 보내며, 이들의 더욱 더 큰 발전과 도약을 기대해 본다.
심사위원 김성원 임근준 조선령